안녕하세요. 오늘은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을 재해석하여 가장 크게 변화를 맞이 할 지역을 예상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서울도시기본 계획이란 서울시가 가지고 있는 도시계획 목표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공간의 활용성을 높인다는 점입니다.
서울시는 공간을 더욱 넓게 쓰기 위해서 여러가지 소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목표에 부합되는 지역구가 개발되어 호재를 누릴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여러 소목표 맞닿아 있는 지역은 그만큼 이점이 더 많다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소목표를 알려드리고 재해석한 기준을 알려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소목표
1. 보행일상권 확보 : 걸어서 모든 것이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파리 시장이 모든 곳을 15분만에 갈 수 있도록 하겠다라는 공략을 건 것처럼 서울 역시 걸어서 모든 것이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것을 꿈꾸고 있습니다. 공간의 효율성을 높여서 더욱 생산성을 높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려는 것입니다. 좁은 서울에서 태어나서 활동 반경이 적으신 분들은 아마 이 장점을 많이 느끼지 못하셨겠지만 차타고 장보러 왕복 2시간 이상 할애해보신 분들은 아마 얼마나 힘들고 효율성이 떨어지는 일인지 아실 것입니다.
2. 수변중심공간: 도로와 철도로 인해 단절되어 있었던 서울에 있는 하천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계획입니다. 안양.홍제.중앙.탄천 등 큰 물줄기를 중심으로 녹지와 수변공간을 쉼터 공간으로 꾸민다는 것입니다.
3. 중심지 혁신: 중구 (중앙행정역할), 여의도(금융중심역할), 강남(업무중심역할)로 나누고 이를 집중개발, 글로벌한 국제 도시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들이 이 곳에 와서 근무하게 됩니다. 이러한 중심업무가 분담되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 새로운 교통혁신입니다.
4. 지상철도지하화: 지상의 공간의 용도를 넓게 쓰기 위해 지상에 있는 철도를 지하화한다는 계획입니다.
5. 미래교통인프라: 현재 서울시는 자율주행(현재시범운행중), UAM, 드론 등 서울시를 담당하는 물류를 소화할 수 있도록 미래 교통망을 구축 중입니다.
2024 도시기본계획 재해석
그럼 지금부터 도시계획을 재해석하여 어떤 지역이 가장 크게 바뀔지에 대해서 예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사업성이 부진하거나 정권이 바뀌면 무기한 연장되거나 폐지될 수도 있다는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참고로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연결 가능성이 있는 곳
소목표 3번 중심지 혁신에 따라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신설노선이 증축중입니다. 연결가능성이라는 것은 단절이나 고립이 아니라 광역처럼 뻗어나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시로 테헤란로의 연장이 있습니다. 서리풀터널이 만들어지면서 테헤란로가 길게 연장되게 되었고 잠원 이수역 부근이 수혜를 입은 적이 있습니다. 다양한 신설노선 증축중에서도 옥석을 가리기 위해선 사업성이 높고 수익성이 높은 노선을 주목해야 합니다. 지하철 노선 중 가장 수익성이 높은 호선은 9호선이며 GTX에서는 GTX A와 C 노선입니다. 특히 삼성역은 GTX 노선과 MICE 프로젝트 (동남권 복합개발) 로 올림픽공원을 지나 몽촌토성역, 잠실까지 이어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9호선은 현재 강동구와 고덕까지 연결되어 질 전망입니다. 아래 사진은 동남권 복합개발에 관하여 교통이 어떻게 연결되어지는 지에 대한 사진입니다.
2. 배후지가 되거나 배후지가 있는 곳
GTX 선에 대한 호재로 가장 크게 들썩인 곳이 동탄이 있습니다. 서울시의 입장에서 본다면 운정신도시, 파주, 동탄의 인구를 끌어들이면서
수혜를 입게됩니다. 이를 배후지가 있다라고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서 여의도는 금융중심지구로 강화되며 스카이라인이 크게 바뀔 예정인데 여의도의 배후지로 노량진을 꼽을 수가 있습니다. 또한 용산도 여의도의 배후지가 될 수 있습니다. 여의도라는 포화된 공간에서 광역적으로 배후지로 기능이 분담되면서 배후지가 있는 곳과 배후지가 되는 곳 모두 상생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아래는 여의도와 동작구의 사진입니다. 동작구는 현재 노량진과 흑석 뉴타운이 준비하고 있는 곳입니다.
3. 수변이 있는 곳
탄소중립정책과 녹색지대가 도시 공간의 활력을 불어넣어 주는 이점이 부각되면서 서울시가 가지고 있는 자연환경을 적극 이용할 전망입니다. 이는 지상의 나있는 철도나 도로를 지하화한다는 소목표와도 맞닿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서울숲에 대한 접근성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서 강변북로의 연결로를 개선하는 점 등이 있습니다. 또한 군자교 근처의 중랑천일대의 수변 모습도 크게 변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사진은 여러 간선도로들의 지하화 예정 사진입니다.
오늘 이렇게 2040서울도시기본계획을 간단히 정리해보며 서울시의 미래보습을 그려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들은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시 홈페이지 : https://urban.seoul.go.kr/view/html/PMNU3030000001
'서울의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3대 글로벌 부동산 대기업, 한국 주택 월세 시장 노린다 – 하인즈·모건스탠리·ICG의 움직임 (17) | 2025.03.02 |
---|---|
우리은행, 주요 대출 금리 인하 (11) | 2025.02.27 |
경인고속도로와 강변북로-올림픽대로 지하화 수혜 볼 지역 (3) | 2025.02.21 |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절차 확인하는 법 은마아파트 예시 (8) | 2025.02.17 |
4년만에 잠실,삼성,대치,청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4)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