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근처의 역사와 개발 소식 그리고 최근 동대문 시장의 상권 하락과 남대문 시장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경기 불안과 건설업의 도산 등 여러 가지 악재가 겹친 가운데에서도 서울의 몇몇 권역에서는 다양한 재건축과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근처 역세권 개발과 과거 개발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동대문 운동장의 역사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은 이름은 동대문이지만 중구 을지로 7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26년 조선총독부가 경성운동장을 세우며 축구장과 야구장으로 지어졌습니다. 광복 후 1984년 잠실운동장이 세워지면서 이름을 동대문 운동장으로 바꾸었고
2000년대에 상암동에 서울월드컵경기장이 지어지면서 2007년 11월에 마지막 경기를 끝으로 철거되었습니다. 현재 운동장이 사라진 곳에 위치해있는 영국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해체주의 건축물인 DDP (Dream, Design, Play)의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복합문화공간을 지향하며 2008년도에 착공, 2014년 3월에 개장하였습니다.
2007년 디자인 서울 개발과 현재 동대문 상권의 변화
2007년 당시 서울 시장의 디자인서울 계획에 따라 동대문운동장과 그 일대를 철거 한 후 지금의 모습이 되었습니다. 당시 개발을 진행할 때
가장 사람들이 우려한 점은 기존에 인근 지역 주민 위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던 것을 외부 관광객 유입 상권으로 바꾸게 된 것입니다. 많은 지역의 상인들이 지역 경제를 바탕으로 제작, 도매, 소매 구조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이런 흐름을 고려하지 않고
기존에 있던 상인들이 장사를 접고 다른 곳으로 이전해야 했습니다.
오랜만에 찾은 동대문 시장 외국인 관광객 주로 이용
동대문시장은 밀리오레, 두타, apm는 옷 소매 시장과 도매 시장 원단 시장 등이 있는 시장이었지만 최근 온라인 쇼핑, 중국 도매업의 발달로 중국 상인들이 자국에서 물류를 소화하고 임대료 상승 등 복합적인 이유로 현재는 외국인 관광객에 의존하는 상권이 되었습니다.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일대 예정 중인 정비사업 계획
이러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일대가 다시 한번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될 예정입니다.
1.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및 신축: 현재 서울 중구 을지로에 위치한 국립중앙의료원이 미군 공병단 용지로 신축 이전을 추진 중입니다.
2. 신당 10구역 재개발사업: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신당역, 청구역과 3개의 지하철 역이 인접해 있는 이 지역은 신속통합기획에 따라 35층 높이의 1400가구 규모의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 합니다.
3. 광희도 1가 303-1 도시정비형 개발사업: 이 지역은 1만 2096.9 제곱미터의 일반상업지역으로 현재 노후 건축물들이 밀집해있는 지역입니다. 이 지역에 용적률 1128.2 %의 근린생활시설용도의 건축물 1개동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또한 3400제곱미터 규모의 개방형 녹지를 조성할 예정입니다.
남대문·동대문 상권의 희비, 점포 감소 vs. 유동인구 증가
단기적인 비교이지만 동대문 시장에 사람이 없는 반면에 남대문 시장에는 유동인구가 늘어가고 매출액도 약간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서울역에 gtx가 신설되면서 유동인구 증가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옷을 사려고 동대문 apm 몰 들어갔는데 그 곳에 입점한 상인분들이 "남대문에는 사람이 바글바글 하다던데" 라는 소리를 듣고 조사해본 결과입니다. 동대문 상권이 지역 상인들과의 상생 및 정비 사업의 장기적인 안목으로 다시 살아나기를 기대해봅니다. 광희동 상권에 있는 카페와 칵테일바 사진을 올리며 마무리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셔 감사합니다.
'서울의 상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감성 주거 꼬마빌딩 투자 안국역 (6) | 2025.04.08 |
---|---|
논현동 이디아랩 본사 포지셔닝로 본 위치활용 브랜딩 전략 (10) | 2025.02.24 |
고속터미널 신세계 파미에스테이션 역 중심의 상권 발달 (6) | 2025.02.19 |
침착맨 건물 방이동 임장 송파나루역 송파구 임장 (16) | 2025.02.08 |